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조직도
2016 사진전입상작, 송승욱 [개기월식 레드문(RED MOON)을 담다]
기구/정원
×
기상청은 환경부 소속하에 있는 중앙행정기관(청장 : 차관급)이며, 소속 직원은 국가공무원으로서 국가공무원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본청 1, 수치모델링센터 1, 기상기후인재개발원 1, 지방기상청 7, 국가기상위성센터 1, 기상레이더센터 1, 국립기상과학원 1,항공기상청 1
기구
기구 현황 기구현황을 본부(국[관,센터], 과[센터], 팀), 소속기관(1차, 2차)로 설명한 표
국(관, 센터)
과(센터)
팀
1차
2차
6
28
5
13
16
정원
정원현황 정원현황을 계, 정무직 고공단, 3·4급, 4급, 4·5급, 5급, 6급이하, 연구관, 연구사, 전문직, 전문 경력관, 전문 임기제 로 나타낸 표입니다.
계
정무직
고공단
3·4급
4급
4·5급
5급
6급이하
연구관
연구사
전문직
전문 경력관
전문 임기제
1,350
1
14
11
41
27
162
942
64
71
14
1
2
인력구성
인력구성현황 인력구성현황을 구분, 경력직공무원[일반직[행정직, 기술직, 연구직, 관리운영직], 임기제, 전문직공무원, 전문경력관], 특수경력직공무원[정무직, 별정직]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1,299명(현원)
80명 (행정, 6.0%)
7명(방호, 0.5%)
929명(기상, 71.5%)
34명(방송통신, 2.6%)
64명(전산·기타직, 4.9%)
133명 (기상, 10.2%)
1명(기록)
1명(학예)
19명 (사무운영 등, 1.5%)
9명 (일반, 0.7%)
5명(전문, 0.4%)
1명
1명
1명
대변인실
×
주요업무안내
1. 정책홍보 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대국민 홍보 및 만족도 조사ㆍ분석
3. 언론기관과의 협조 및 언론 모니터링에 관한 사항
4. 온라인대변인 지정ㆍ운영 등 소셜 미디어 정책소통 총괄ㆍ점검 및 평가
직원검색
감사담당관
×
주요업무안내
1.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ㆍ산하기관 및 산하단체에 대한 감사
2. 소속 공무원의 재산등록 심사, 공직기강 및 부패방지에 관한 업무
3. 비위와 관련된 진정 등에 대한 조사ㆍ처리 및 감사결과 사후관리
4. 그 밖에 청장이 감사에 관하여 지시하는 사항의 처리
직원검색
운영지원과
×
주요업무안내
1. 보안에 관한 사항
2. 관인 및 관인대장의 관수
3. 문서ㆍ기록물의 관리 및 정보공개제도 운영
4. 기상청 인사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5. 소속 공무원의 임용ㆍ복무ㆍ징계ㆍ상훈, 그 밖의 인사사무
6. 예산의 집행
7. 물품 및 기상장비의 구매 및 조달
8. 국유재산 및 물품의 관리
9. 청원경찰 임용 및 청사방호 관리
10. 청사 신축ㆍ증축 및 시설 유지관리
11. 기상청 소속 공무원의 연금ㆍ급여 및 복리후생
12. 국가비상사태에 대비한 기상청 제반 계획의 수립ㆍ종합 및 조정
13. 청내 정부 비상훈련ㆍ직장예비군 및 민방위대의 관리
14. 안전관리ㆍ재난상황 및 위기상황 관리기관과의 연계체계 구축ㆍ운영
15. 그 밖에 청내 다른 보조기관 및 보좌기관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직원검색
기획조정관
×
주요업무안내
기획조정관
1. 주요정책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각종 지시사항 및 국정과제의 점검ㆍ관리
3. 예산의 편성ㆍ집행의 조정 및 재정의 성과 관리
4. 국회관련 업무의 총괄ㆍ조정
5. 행정관리 업무의 총괄ㆍ조정
6. 청 내 조직 및 정원의 관리
7. 청 내 국가사무 민간위탁 현황 관리 등 총괄
8. 성과관리 업무의 총괄ㆍ조정
9. 청 내 정부혁신 관련 과제 발굴ㆍ선정, 추진상황 확인ㆍ점검 및 관리
10. 소관 법제 업무 총괄
11. 소관 행정심판 및 소송 사무의 총괄
12. 규제심사 및 정비
13. 제안제도의 운영
14. 국제협력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15. 국제기구와의 협력업무 총괄
16. 국가 간 기상기술 교류협력
17. 북한지역 기상ㆍ기후 관련 정책의 수립 및 조정
18. 남북한 공동 기상관측망 구성 및 운영
19. 기상ㆍ기후 및 지진분야 연구개발 사업의 계획수립ㆍ조정ㆍ평가
20. 기상ㆍ기후 및 지진분야 연구개발사업단의 관리
기획재정담당관
1. 기상업무에 관한 주요정책과 장ㆍ단기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 및 조정
2. 기상기술의 수준 및 질에 대한 종합평가에 관한 사항
3. 청내(廳內) 중기재정계획 업무의 총괄에 관한 사항
4. 청내 예산의 편성ㆍ결산 및 집행의 조정
5. 청내 재정사업의 성과계획 수립 및 관리에 관한 사항
6. 청내 국회 관련 업무의 총괄 및 조정
7. 청내 당정협의 업무의 총괄에 관한 사항
8. 간부회의, 주요정책에 관한 회의 등 청내 주요회의에 관한 사항
9. 국정과제ㆍ공약과제 등 주요사업 관리에 관한 사항
10. 각종 지시사항의 관리에 관한 사항
11. 그 밖에 관내 다른 담당관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혁신행정담당관
1. 청내 업무처리절차의 개선, 조직문화 혁신 등 혁신업무의 총괄ㆍ지원
2. 청내 국민제안 관련 제도의 개선
3. 청내 조직진단 및 평가를 통한 조직과 정원의 관리
4. 청내 정부기능분류 관련 업무의 총괄에 관한 사항
5. 청내 총액인건비제 관련 업무의 총괄에 관한 사항
6. 청내 각 부서간의 업무조정에 관한 사항
7. 청내 정부업무평가의 계획수립 및 총괄ㆍ조정에 관한 사항
8. 청내 기관 성과관리제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사항
9. 청내 정책품질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사항
10. 청내 자체 제안제도의 운영
11. 청내 전자통합평가시스템의 운영에 관한 사항
12. 청내 행정제도개선 계획의 수립ㆍ집행
13. 책임운영기관 운영지원 및 평가
14. 법령ㆍ훈령ㆍ예규ㆍ고시의 심사
15. 「기상법」의 개정에 관한 사항
16. 법령의 질의ㆍ회신 총괄에 관한 사항
17. 소송사무의 총괄 및 행정심판에 관한 업무
18. 규제심사 및 정비에 관한 업무
19. 행정서비스 헌장 제도의 총괄 및 지원
20. 행정절차제도 관련 업무 총괄
21. 민원 관련 제도의 개선
22. 정부혁신 관련 과제의 발굴ㆍ선정과 추진상황의 확인ㆍ점검 및 관리
23. 국내외 기상업무협약 관련 업무의 총괄
24. 산하 공공기관의 조직ㆍ정원관리 및 경영지원에 관한 사항
25. 청 내 국가사무 민간위탁 현황 관리 등 총괄
26. 청 내 일자리 정책 총괄, 제도개선 및 추진상황 확인ㆍ점검
27. 청 내 공공기관, 기업, 단체 등과의 행정협업 관련 업무의 총괄ㆍ조정
연구개발담당관
1. 기상업무 및 기상산업 분야 연구개발 사업에 관한 정책,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 및 조정
2. 기상연구개발 예산(출연금ㆍ시험연구비)의 배분 및 조정
3. 기상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심의ㆍ평가 및 제도개선에 관한 사항
4. 연구용역사업의 심의ㆍ평가 및 제도개선에 관한 사항
5. 기상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관리ㆍ감독
6. 기상연구개발 사업의 성과관리 및 활용촉진에 관한 사항
7. 기상청 연구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사항
국제협력담당관
1. 기상청 국제협력에 관한 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 및 조정
2. 세계기상기구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업무 청내 총괄
3. 동북아 국가와의 기상 및 지진분야 기술협력에 관한 사항
4. 국가간 기상기술 교류협력에 관한 사항
5. 기상분야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기획 및 관리
6. 청내 공무국외여행 및 국외파견에 관한 사항
7. 청내 국제회의, 훈련 등의 개최 및 지원에 관한 사항
8. 북한지역 기상ㆍ기후 관련 정책의 수립 및 조정
9. 남북한 공동 기상관측망의 구성 및 운영
10. 남북한 기상 관련 유관기관 및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예보국
×
주요업무안내
예보국
1. 예보(장기ㆍ수치예보 제외) 및 특보(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관련 특보 제외) 관련 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방재기상업무 계획 수립 및 시행
3. 기상정보의 통보업무에 관한 계획 수립ㆍ조정ㆍ지원
4. 황사예측 관련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및 정보의 생산
5. 전국 예보 및 특보의 분석ㆍ총괄
6. 북한지역에 대한 기상서비스
7. 예보분석기법 개발
8. 인터넷 기상방송 운영
9. 재난 및 위기대응에 관한 기상업무
10. 태풍예측 관련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 및 조정
11. 태풍 정보 생산 및 기상특보 지원
12. 태풍 예측기술 개발 및 연구
13. 태풍에 대한 재해대책기관의 방재대응업무 지원
예보정책과
1. 예보(장기ㆍ수치예보는 제외 및 특보 관련 업무에 관한 기본정책 및 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예보 및 특보 관련 제도의 개선
3. 예보 및 특보 결과의 평가에 관한 사항
4. 방재기상업무 기본계획의 수립 및 조정
5. 방재기상업무 수행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
6. 기상재해 대응 및 정책 수립
7. 기상정보 통보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및 지원
8. 기상정보의 통보처 관리
9. 청내 예보장비의 유지ㆍ관리
10. 단기ㆍ중기예보 관련 자료의 유지ㆍ관리
11. 황사예측 관련 기본계획 수립ㆍ종합 및 조정
12. 재난 및 위기대응(방사능ㆍ유해화학물질ㆍ산불 등)에 관한 기상정보 제공
13. 예보 분야 연구개발 사업에 관한 대내외 기관과의 협의ㆍ조정
14. 그 밖에 국내(局內) 다른 과ㆍ센터 및 팀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총괄예보관
1. 전국 예보의 분석 및 총괄
2. 전국 예보자료의 수집ㆍ분석 및 지원
3. 전국 특보의 분석 및 총괄
4. 태풍 특보의 생산 및 통보
5. 전국 기상예보ㆍ기상특보 및 기상정보의 통보
6. 북한지역 예보의 분석ㆍ생산 및 통보
7. 방재기상업무의 지원
예보기술과
1. 예보 기술 개발에 관한 계획수립 및 종합ㆍ조정
2. 예보 시스템 개선에 관한 사항
3. 대국민 예보서비스 진단 및 개선에 관한 사항
4. 예보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사항
5. 예보기술 발전을 위한 국내외 협력에 관한 사항
6. 동네예보시스템의 개발ㆍ개선 및 운영
7. 방재기상정보시스템의 개발ㆍ개선 및 운영
국가태풍센터
1. 태풍예측 관련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 및 조정
2. 태풍의 발생, 추적, 감시, 분석, 정보생산 및 특보 지원
3. 태풍의 진로 및 강도 예보에 대한 지침의 개발
4. 태풍에 대한 재해대책기관의 방재 대응 업무 지원
5. 태풍 예보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및 모델 운영
6. 태풍의 발생ㆍ발달 및 소멸 과정에 관한 연구
7. 태풍에 관한 모델의 개발 및 개선
8. 태풍 관련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
예보분석팀
1. 위험기상 및 특이기상 분석
2. 예보 콘텐츠 생산 및 제공
3. 강수 및 기온 요소 분석
4. 중기예보 변동성 및 동아시아 기압계 분석
5. 예보전문분석관 운영
6. 이상기상 사례분석
7. 예보분석기법 개발 및 보급
8. 인터넷 기상방송 운영에 관한 사항
영향예보추진팀
1. 영향예보 관련 업무에 관한 기본정책 및 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영향예보 기술 개발 및 지원
3. 영향예보 분석기법 개발 및 보급
4. 영향예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5. 영향예보 관련 법령 및 제도 정비
6. 분야별 영향예보 지원
7. 영향예보 관련 유관기관 협업 등 대외 협력
8. 영향예보 관련 주요 기상선진국과의 국제협력분야 발굴
관측기반국
×
주요업무안내
관측기반국
1. 기상관측(지진관측 제외) 및 기상관측표준화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민간 및 유관기관과의 위탁기상관측 업무 협력에 관한 사항
3. 「기상관측표준화법」에 따른 기상측기(氣象測器) 검정대행기관의 관리 및 기술지원
4. 국가기상관측시설의 조정ㆍ협의ㆍ등급부여 및 지원 등에 관한 사항
5. 국가기상관측망의 구성ㆍ운영 및 조정
6. 기상장비 수급계획 수립ㆍ종합ㆍ조정
7. 기상측기의 민간개발 활성화 전략 및 지원정책 수립
8. 「기상법」 제12조에 따른 기상정보시스템의 구축ㆍ운영
9. 청내 정보화 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10. 국내외 기상자료 수집ㆍ분배ㆍ처리 및 교환
11. 청내 정보통신 및 정보보호 계획의 수립ㆍ운영
12. 세계기상통신망 구축 및 운영 추진
13. 기상용 슈퍼컴퓨터 운영계획의 수립 및 시행
14. 국가슈퍼컴퓨터운영센터의 운영 및 관리
관측정책과
1. 기상관측(지진관측 제외)에 관한 정책과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기상관측(지진관측 제외) 기술 관련 제도의 개선
3. 기상관측(지진관측 제외) 기술업무의 지도ㆍ점검 및 평가에 관한 사항
4. 민간 및 유관기관과의 기상관측자료 공동활용ㆍ협력에 관한 사항
5. 기상관측(지진관측 제외) 기술기준 설정에 관한 사항
6. 국가기상관측망의 구성ㆍ운영 및 조정
7. 기상관측 방법의 설정ㆍ변경에 관한 사항
8. 기상관측업무 종사자의 기준에 관한 사항
9. 최적 기상관측환경의 확보ㆍ유지에 관한 사항
10. 청 내 기상측기(氣象測器)의 유지ㆍ관리에 관한 사항
11. 관측 분야 연구개발 사업에 관한 대내외 기관과의 협의ㆍ조정
12. 해양기상관측망의 구성
13. 관측지원선박(觀測支援船舶)에 관한 사항
14. 해양기상관측선(海洋氣象觀測船)의 도입에 관한 사항
15. 그 밖에 국내 다른 과 및 센터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계측표준협력과
1. 기상장비 도입에 관한 계획의 종합ㆍ심의ㆍ조정ㆍ평가 및 제도개선
2. 기상기자재 수급 조정 및 관리에 관한 사항
3. 기상관측장비의 기술표준규격 제ㆍ개정 및 대상 선정ㆍ심의ㆍ조정
4. 기상측기 기술개발 전략 및 지원정책의 수립
5. 기상측기의 검ㆍ교정업무에 관한 사항
6. 「기상관측표준화법」에 따른 기상측기 검정대행기관의 관리 및 기술지원
7. 청내 기준기(基準器)의 정밀도 유지 및 관리
8. 기상관측표준화 정책의 수립ㆍ조정 및 운영에 관한 사항
9. 「기상관측표준화법」의 개정에 관한 사항
10. 기상관측자료의 표준화와 품질관리에 관한 사항
11. 기상관측시설의 조정ㆍ협의ㆍ등급부여 및 지원 등에 관한 사항
12. 기상관측자료의 정확도 확보를 위한 지원에 관한 사항
13. 기상관측표준화위원회 및 실무위원회의 운영에 관한 사항
정보통신기술과
1. 청내 정보화(기상 및 행정)에 관한 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청내 기상통신 및 전산운영에 관한 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3. 청내 정보자원 관리 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4. 청내 정보화사업 계획의 수립ㆍ조정 및 평가
5. 청내 정보시스템 통합 운영 정책의 수립 및 조정
6. 청내 사무자동화 추진 및 정보화 기술 도입
7. 기상청 정보화 관련 국내외 협력에 관한 사항
8. 기상청 홈페이지의 운영정책 수립 및 조정
9. 기상청 정보시스템의 통합 운영 및 관리
10. 기상통신시스템의 구축ㆍ운영 및 관리
11. 청내 정보자원관리시스템의 구축ㆍ운영 및 관리
12. 국내외 기상자료의 수집ㆍ분배ㆍ처리 및 교환
13.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ㆍ운영 및 관리
14. 청내 정보통신시스템에 관한 사항
15. 기상청 홈페이지 구축ㆍ운영 및 관리
16. 기상청 정보통신센터의 운영 및 관리
17. 기상관측장비의 관리를 위한 전산시스템 구축ㆍ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18. 그 밖에 청내 다른 부서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정보화 관련업무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1. 기상용 슈퍼컴퓨터의 도입 및 운영에 관한 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기상용 슈퍼컴퓨터와 부대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
3. 기상용 슈퍼컴퓨터 자원 및 사용자 관리
4. 슈퍼컴퓨터 관련 신기술 도입ㆍ적용 및 국내외 협력
5.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의 운영 및 관리
정보보호팀
1.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정책 수립ㆍ운영 및 평가
2.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교육 및 지도ㆍ점검
3. 기상분야 사이버안전센터 운영ㆍ관리
4. 기상청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보호 및 관리
5. 정보보호시스템 구축ㆍ운영 및 관리
6. 정보화사업 보안성 검토 및 보안 적합성 검증
7.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유관기관과의 협력
8. 사이버 침해 예방ㆍ대응 및 위기대응 훈련
9. 정보시스템 보안취약점 점검 및 관리
기후과학국
×
주요업무안내
기후과학국
1. 기후 및 기후변화 관련 기본정책 수립․종합 및 조정
2.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지원에 관한 사항
3.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및 GEO(지구관측그룹) 등 기후분야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4. 세계기상기구가 정하는 바에 따른 기후변화감시 관측․분석․조사 및 발표에 관한 사항
5. 기후예측(기후전망 및 장기예보)의 생산․관리 및 통보에 관한 사항
6. 엘니뇨, 라니냐 등 이상기후․기후의 감시 및 조사․분석
7. 해양기상에 대한 정책 수립 및 제도 개선, 대내외 협력에 관한 사항
8. 기후 및 기상기후에 대한 조사, 분석, 관련기술 개발 및 개선
9. 지역 기후변화 관련 정책수립 및 조정
10. 기후변화과학(감시, 예측 등) 분야의 정보지원․홍보에 관한 사항
11. 북한지역에 대한 기상서비스 및 남북기상협력에 관한 사항
12. 수문․가뭄.인공강우에 관한 기상업무 및 관련 유관기관과의 협력에 관한 사항
기후정책과
1. 기후예측, 이상기후 전망, 기후변화 감시 등 기본정책 및 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정책 수립 및 지원
3. 녹색성장기본법,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중 기상청 정책 수립 및 협력
4. 기후자문협의회 등 기후 관련 회의체 운영
5. 기후업무 관련 법규 및 제도의 개선
6. 기후ㆍ기후변화분야 국가정책 관련 유관기관과의 협력
7. 기후ㆍ기후변화 관련 국가보고서 등 작성 지원 및 협력
8. 세계기상기구(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의 지구대기 감시 국제 프로그램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9. 기후변화감시망 구성 및 조정, 기후변화감시 국내외 협력에 관한 사항
10. 세계기상기구 육불화황 세계표준센터의 업무에 관한 사항
11. 장기예보 평가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12. 장기예보 평가 기준 설정 및 평가, 평가 결과 관리 및 환류
13.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 관한 사항
14. 지구관측그룹(GEO: Group on Earth Observations), 전지구기후서비스체제(GFCS: Global Framework for Climate Services),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등 국내외 협력 및 이행에 관한 사항
15. 기후ㆍ기후변화 분야 연구개발 사업에 관한 대내외 기관과의 협의ㆍ조정
16. 기후ㆍ기후변화 분야 범정부 연구개발 종합대책 대응 업무
17. 그 밖에 국 내 다른 과ㆍ팀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기후예측과
1. 기후예측에 관한 주요업무계획의 수립
2. 기후예측 정보의 생산ㆍ관리ㆍ통보 및 검증
3. 기후예측 기술개발 및 개선, 기후예측모델을 이용한 예보기법의 개발ㆍ개선
4. 기후예측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
5. 기후예측분야 국내외 기술교류 및 국제협력
6. 장기예보의 사후분석
7. 이상기후 전망에 관한 주요업무계획 수립, 관련 기술 개발 및 개선
8. 이상기후 정보 시스템 구축 및 운영
9. 이상기후 전망 생산 및 제공, 검증 및 평가
10. 이상기후 정보 연계 기술 개발ㆍ개선ㆍ보급 및 관계기관 협력
11. WMO 전지구 장기예측자료 생산센터, 다중모델앙상블 장기예보 선도센터 운영 및 관리
12. WMO 지정 센터 관련 국내외 기술교류 및 국제협력
해양기상과
1. 해양기상에 관한 주요정책 및 기본계획 수립
2. 해양기상업무의 기준 설정 및 해양기상 관련 제도의 개선
3. 해양관련 유관기관과의 협력
4. 해양기상정보의 교류 및 국제협력에 관한 사항
5. 남극과 북극의 해양기상업무
6. 해양기상에 관한 기술지도 및 대외 협력
7. 해양기상서비스 관련 시스템 구축ㆍ운영 및 개선
8. 해양기상에 관한 기술개발 및 조사ㆍ분석
9. 국내외 해양기상정보 수집ㆍ분석
10. 전지구 해양기후 감시체계 구축ㆍ운영
11. 해양위험기상 감시ㆍ분석정보 생산
12. 기상통신소 운영(통신시설의 유지ㆍ관리, 보안, 방화, 청사 및 각종 시설물의 유지ㆍ관리 등)에 관한 사항
13. 국내의 기상실황 및 예보의 무선통신에 관한 사항
기후변화감시과
1. 기후 및 이상기후 분석에 관한 주요업무계획 수립
2. 기후 및 이상기후(실시간 분석이 필요한 현상 제외)의 조사ㆍ분석, 관련 기술 개발 및 개선
3. 기후분석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
4. 기후분석 분야 국내외 기술교류 및 국제협력
5. 북한지역 기후특성 분석 및 자료 생산
6. 기후변화감시 분석 정보 제공에 관한 주요업무계획 수립
7. 기후변화 원인ㆍ결과에 대한 종합 기후변화감시정보 기술개발 및 개선
8. 해양기상에 관한 기술개발 및 조사ㆍ분석
9. 기후변화감시 분석 정보 제공 등을 위한 대내외 협력
10.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관한 정책 수립 및 조정
11.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관리ㆍ개선 및 인증
12. 기후변화에 대한 과거 추세분석 및 미래 전망 발표
13. 한반도 상세 기후변화 분석정보 생산 및 제공
14. 기후변화 영향조사ㆍ평가 지원을 위한 시나리오 기반 분야별 응용정보 생산 및 제공
15.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에 대한 유관기관 협력
16.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기법 개발 및 개선
17. 기후변화가 지구환경 및 기상현상에 미치는 영향 조사
18. 기후 관련 대국민 이해확산에 관한 정책 수립, 정보의 생산 및 제공
19. 기후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운영ㆍ관리
20. 지역기후변화 이해확산 프로그램 운영
수문기상팀
1. 수문기상/가뭄에 관한 정책 수립 및 조정
2. 수문기상/가뭄 감시ㆍ분석ㆍ예측에 관한 기술 개발 및 개선, 보급
3. 수문기상시스템/가뭄시스템 구축 및 운영
4. 수문기상 예측자료 및 가뭄예보에 대한 검증 및 평가
5. 가뭄예보 생산 및 제공
6. 수문기상 정보 생산 및 제공, 수문기상 예측자료에 대한 검증 및 평가
7. 분야별 수문기상 정보 연계 기술 개발 및 보급
8. 수문기상 관련 국내외 유관기관 협력 및 국제기구 대응
9. 가뭄 관련 국내외 유관기관 협력 및 실무 매뉴얼 관리ㆍ운영
10. 인공강우에 관한 기본정책 및 주요업무계획 수립ㆍ조정
11. 수문기상에 관한 인공강우 실험 관련 지원
12. 인공강우에 관한 자문단 구성ㆍ운영, 유관기관 협업 등 대내외 협력에 관한 사항
기상서비스진흥국
×
주요업무안내
기상서비스진흥국
1. 기상산업ㆍ항공기상ㆍ응용특화기상(생활ㆍ농림ㆍ산업ㆍ생명ㆍ교통안전 등)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기상법」 제18조에 따른 기상 조절의 승인 및 관리
3. 응용특화기상서비스에 관한 정보생산 및 개발
4. 기상자료 관리 및 민원업무에 관한 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5. 기상관측자료(유관기관이 보유한 자료 포함) 및 기후자료 관리ㆍ발간
6. 기상자료 처리기법 및 관리기술의 개선
기상서비스정책과
1. 기상산업ㆍ항공기상에 관한 기본정책 및 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기상산업 진흥 관련 법률에 관한 사항
3. 항공기상 업무 및 관련 유관기관과의 협력에 관한 사항
4. 기상정보의 경제적 가치 제고 전략 수립 및 이와 관련된 부처 및 시민단체간 협력
5. 기상산업의 육성 정책 및 제도에 관한 사항
6. 기상사업자 및 기상관련 면허 관리 등에 관한 업무
7. 기상정보의 산업분야에 대한 경제적 영향조사ㆍ분석 및 응용전략 개발
8. 날씨경영인증제도 운영
9. 청내 특정업무의 민간 위임ㆍ위탁 전략의 수립 및 조정
10. 「기상법」 제18조에 따른 기상조절의 승인 및 관리
11. 기상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상기술의 민간이전에 관한 업무
12. 대국민 기상서비스에 관한 기술 개발
13. 기상콜센터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14. 한국기상산업기술원에 대한 지도ㆍ감독
15. 기상산업 및 기상서비스 분야 연구개발 사업에 관한 대내외 기관과의 협의ㆍ조정
16. 비영리법인 관리에 관한 사항
17. 그 밖에 국내 다른 과 및 센터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국가기후데이터센터
1. 기상자료 관리 및 민원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 및 조정
2. 기상관측자료(유관기관이 보유한 자료 포함) 및 기후자료 관리에 관한 사항
3. 기상관측자료 및 기후자료 발간에 관한 사항
4. 기상자료 처리기법 및 관리기술의 개선ㆍ지도에 관한 사항
5. 기상자료의 증명ㆍ제공 및 민원업무의 개선ㆍ지도에 관한 사항
6. 청내 고객만족센터의 운영
7. 한반도 기후분석을 위한 기상통계 및 북한기후 연보의 발간ㆍ배포
기상융합서비스과
1. 기상기후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서비스 발굴 및 기술개발에 관한 사항
3. 응용특화기상(생활ㆍ농림ㆍ산업ㆍ생명ㆍ교통안전 등)에 관한 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4. 응용특화기상(생활ㆍ농림ㆍ산업ㆍ생명ㆍ교통안전 등)에 대한 정보생산 및 기술개발에 관한 사항
5.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및 응용특화기상정보 생산시스템의 운영
6. 기상기후 빅데이터, 응용특화기상 및 지역 맞춤형 서비스 관련 대외협력
7. 지역기상융합서비스를 위한 계획의 수립ㆍ종합 및 조정
8. 지역기상융합서비스 발굴ㆍ관리 및 홍보에 관한 사항
지진화산국
×
주요업무안내
지진화산국
1.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에 관한 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에 관한 기준설정ㆍ기술지도 및 기술개발
3.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관측장비의 규격 설정 및 검정에 관한 사항
4. 지진ㆍ지진해일 및 화산활동 관측기관협의회 구성 및 운영
5.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관측망 구축ㆍ운영 및 자료의 수집ㆍ분석ㆍ관리
6.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관련 특보의 생산ㆍ통보 및 사후분석
7.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의 관측ㆍ감시ㆍ분석 및 통보
8. 국내외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유관기관과의 협력
9. 지진ㆍ인공지진ㆍ지진해일 및 화산에 관한 연구
10. 지진 및 화산에 관한 연구계획의 수립ㆍ조정 및 연구관리
지진화산정책과
1.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에 관한 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개정에 관한 사항
3.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에 관한 국내외 협력 계획의 수립
4.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관련 정보의 활용 증대 방안 마련
5. 「지진ㆍ화산재해대책법」 제5조제4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조제2항에 따른 지진ㆍ지진해일 또는 화산활동 관측장비의 성능ㆍ규격의 고시
6. 「지진ㆍ화산재해대책법」 제9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7조에 따른 지진ㆍ지진해일 및 화산활동 관측기관협의회 구성 및 운영
7.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제4조제1항에 따른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8. 그 밖에 국 내 다른 과 및 팀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지진화산감시과
1. 국내외에서 발생한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활동 감시
2.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관련 정보의 수집ㆍ분석 및 통보
3.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관련 특보의 생산ㆍ통보 및 사후분석
4.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통지대상기관의 관리 및 조정
5. 국내외 화산폭발 및 화산재의 확산ㆍ이동 감시 및 통보
지진화산연구과
1.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및 지구물리에 관한 연구
2.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및 지구물리 분야 연구개발 사업에 관한 사항
3.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의 관측ㆍ분석 및 검정 등에 관한 기준설정
4.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활동의 예측을 위한 전조현상 관측 및 해석
5.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연구성과의 현업화를 위한 기술 개발
6. 지진조기경보 기술 연구
7. 한반도 및 주변지역의 지각구조에 관한 연구
8. 이동식 관측망을 활용한 지진발생 원인 규명
지진정보기술팀
1. 「지진ㆍ화산재해대책법」 제5조제1항에 따른 지진ㆍ지진해일 및 화산활동 관측망 종합계획의 수립
2. 청 내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관측망의 구축ㆍ운영
3.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현상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ㆍ운영
4.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의 관측ㆍ감시ㆍ조사ㆍ분석 등에 관한 기준설정ㆍ기술지도ㆍ기술지원 및 기술개발
5. 국가 지진조기경보 체계 구축에 관한 사항
6.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최적화 체계 구축
7. 청 내 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 관측장비의 유지ㆍ관리 및 검정
수치모델링센터
×
주요업무안내
수치모델링센터
1. 수치예보 관련 계획의 수립ㆍ종합ㆍ조정
2. 수치예보모델 개발 및 개선
3. 국지성 상세 위험기상 현상의 수치적 예측기법 개선
4. 자료동화 및 동네예보모델 운영ㆍ관리
5. 자료동화기법 개발 및 개선
6. 동네예보모델 자료 실시간 생산ㆍ제공
7. 수치예보자료의 생산ㆍ지원ㆍ관리
8. 수치예보자료 응용과정의 개발ㆍ개선 및 운영
9. 수치예보기술의 연구 및 확산
10. 수치예보모델의 진단 및 검증평가
수치모델개발과
1. 수치예보 관련 계획의 수립ㆍ종합 및 조정
2. 수치예보 관련 제도의 개선
3. 수치예보모델의 개발 및 개선
4. 확률론적 기법을 이용한 수치예보모델 입력자료 생성방법 개발 및 개선
5. 수치예보자료의 생산ㆍ지원 및 관리
6.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의 지도ㆍ감독
7. 그 밖에 센터 내 다른 과 및 팀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수지자료응용과
1. 관측자료통합ㆍ자료동화ㆍ동네예보모델 개발 계획의 수립
2. 자료동화기법의 개발 및 개선
3. 관측자료의 수치예보모델 입력, 품질검사 및 관리
4. 수치예보자료의 응용과정 개발ㆍ개선
5. 동네예보모델의 개발ㆍ운영 및 관리
6. 관측자료의 통합과정 개발 및 개선
7. 관측자료의 수치예보 영향 평가 및 진단
8. 단기 및 초단기 수치예보시스템 개발 및 개선에 관한 연구
9. 위험기상현상의 수치적 예측 기법 개발 및 개선
수치예보활용팀
1. 수치예보기술 연구 및 예보 지원
2. 수치예보모델 진단에 관한 사항
기상기후인재개발원
×
주요업무안내
기상기후인재개발원
1. 기상ㆍ기후ㆍ지진 분야 교육훈련에 관한 계획 수립
2. 기상ㆍ기후ㆍ지진 분야 교육훈련과정 운영
3. 기상ㆍ기후ㆍ지진 분야 교육훈련과정 연구ㆍ개발 및 강의교재 편찬
4. 기상ㆍ기후ㆍ지진 분야 교육훈련 결과의 종합분석ㆍ평가 및 교육실적의 관리
5. 기상ㆍ기후ㆍ지진 분야 교육훈련기관 및 위탁기관 지정ㆍ관리
6. 기상ㆍ기후ㆍ지진 분야 교육훈련 정보화시스템 구축 및 운영
7. 세계기상기구 지역훈련센터 운영
교육기획과
1. 기상ㆍ기후ㆍ지진 분야 교육훈련에 관한 정책 및 기본계획 수립
2. 기상ㆍ기후ㆍ지진 분야 교육훈련결과 종합분석
3. 교수요원ㆍ강사 확보 및 훈련 지원
4. 교육시설 및 교육기자재 수급ㆍ관리
5. 국제 기상ㆍ기후교육 중장기 계획 수립 및 외국인 교육훈련과정 운영
6. 세계기상기구 지역훈련센터 운영
7. 기상ㆍ기후ㆍ지진 분야 교육훈련 국제협력
8. 기상과학관 설립ㆍ운영
9. 기상교실 운영 및 청 내 견학을 통한 기상지식 보급
10. 기상 관련 외부 교육기관에 대한 지원 및 협력
11. 그 밖에 원 내 다른 과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인재개발과
1. 연간 교육훈련과정 운영계획 수립
2. 외부강사 선정 및 초빙
3. 교육대상자 선발 및 교육훈련과정 운영
4. 교육훈련과정 설문조사, 평가 및 효과분석
5. 교육훈련과정 연구ㆍ개발 및 강의 교재 편찬ㆍ관리
6. 기상업무종사자 및 대국민 기상교육
7. 기상과학 문화확산을 위한 콘텐츠 개발
8. 교육훈련기관 및 위탁기관 지정ㆍ관리
9. 이러닝 기상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ㆍ관리
10. 교육훈련 정보화시스템 구축 및 운영
11.「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제7조에 따른 학점인정을 위한 대기과학분야의 학습과정 운영
지방기상청
×
주요업무안내
기상지청 관측예보연구과
1. 기상지청내 보안 및 관인 관리에 관한 사항
2. 기상지청내 공무원의 임용ㆍ복무 및 그 밖의 인사업무에 관한 사항
3. 관할지역 내 기상관측(고층ㆍ해양관측 포함)
4. 기상지청내 예산의 집행 및 홍보업무
5. 관할지역 내 예보ㆍ특보(지진해일 제외)의 생산ㆍ통보 및 사후분석
6. 방재기상업무의 수행 및 기상에 관한 상담
7. 관할지역 기상관측(고층ㆍ해양기상관측 포함)ㆍ예보ㆍ전산ㆍ통신ㆍ지진장비의 운영 및 유지ㆍ관리
8. 관할지역 내 관측표준화업무에 관한 사항
9. 지역기상관측업무 및 위탁관측업무의 관리
10. 지방종합기상정보망의 관리ㆍ운영
11. 관할해역 내 항만기상관의 운용(전주기상지청의 경우만 해당)
12. 그 밖에 다른 과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기상지청 기후서비스과
1. 관할지역 내 기후ㆍ서비스진흥업무의 지도
2. 관할지역 기상자료관리 및 기후자료의 통계
3. 지역 기상산업진흥에 관한 사항
4. 관할지역 기상서비스 개발 및 개선에 관한 사항
5. 지역기후변화에 관한 사항
6. 기후정보(장기예보를 포함)의 생산ㆍ보급 및 기상지식의 보급
7. 기상자료의 증명ㆍ제공 및 보급
8. 기상과학체험관 운영에 관한 사항
9. 국립전북기상과학관 운영 및 농업기상조사ㆍ정보의 발표에 관한 사항(전주기상지청의 경우만 해당)
기상대
1. 대내 보안 및 관인 관리에 관한 사항
2. 기상관측업무에 관한 사항
3. 방재기상업무 지원에 관한 사항
4. 기상자료의 증명ㆍ제공 및 보급
5. 해양기상서비스 개선에 관한 사항(인천ㆍ울산ㆍ목포ㆍ홍성기상대장만 해당)
6. 영서지역 기상ㆍ기후서비스개선에 관한 사항(춘천기상대장만 해당)
국가기상위성센터
×
주요업무안내
국가기상위성센터
1. 기상위성관측 정책과 기본계획의 수립
2. 기상위성개발에 관한 사항
3. 기상위성, 자료처리 및 응용에 관한 연구
4. 기상위성운영과 관련한 우주기상에 관한 연구
5. 우주기상 예보 및 특보에 관한 사항
6. 기상위성 국내외 협력에 관한 사항
7. 기상위성 운영기반 구축에 관한 사항
8. 기상위성운영 및 관측자료의 수신ㆍ처리ㆍ보존
9. 기상위성 관측자료의 국내외 분배 및 교환
10. 기상위성자료 송수신 기술에 관한 사항
11. 기상위성자료 표준화에 관한 사항
12. 기상위성센터 장비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13. 기상위성 궤도위치 및 주파수 확보에 관한 사항
14. 기상위성자료 분석 및 예보지원에 관한 사항
15. 기상위성자료 분석기술 연구 및 개발
16. 기상위성자료 활용에 관한 사항
17. 기상위성 관측자료 활용기술 지도 및 보급에 관한 사항
18. 보안ㆍ문서관리ㆍ인사ㆍ예산회계 및 물품ㆍ국유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위성기획과
1. 기상위성관측 정책과 기본계획의 수립
2. 기상위성 운영과 관련한 우주기상에 관한 연구
3. 우주기상 예보 및 특보에 관한 사항
4. 기상위성 국내외 협력에 관한 사항
5. 보안ㆍ문서관리ㆍ인사ㆍ예산회계 및 물품ㆍ국유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6. 기상위성 관련 출연연구사업에 관한 사항
7. 그 밖에 센터 내 다른 과 및 팀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위성운영과
1. 기상위성 운영기반 구축에 관한 사항
2. 기상위성 운영 및 관측자료의 수신ㆍ처리ㆍ보존
3. 기상위성 관측자료의 국내외 분배 및 교환
4. 기상위성자료 송수신 기술에 관한 사항
5. 기상위성자료 표준화에 관한 사항
6. 기상위성센터 장비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위성분석과
1. 기상위성 분석자료 생산 및 관리에 관한 사항
2. 기상위성자료 분석 및 예보지원에 관한 사항
3. 기상위성자료 분석기술 연구 및 개발
4. 기상위성 산출자료 검증 및 개선
5. 기상위성자료 활용에 관한 사항
6. 기상위성 관측자료 활용기술 지도 및 보급에 관한 사항
차세대위성개발팀
1. 후속 정지궤도 및 전지구관측 기상위성 개발
2. 후속 정지궤도 및 전지구관측 기상위성 자료처리ㆍ응용에 관한 연구
3. 후속 정지궤도 및 전지구관측 기상위성의 궤도 위치 및 주파수 확보에 관한 사항
4. 후속 정지궤도 및 전지구관측 기상위성 지상국 기술개발
5. 후속 정지궤도 및 전지구관측 기상위성 궤도상시험
6. 후속 정지궤도 및 전지구관측 기상위성 활용기술 개발
기상레이더센터
×
주요업무안내
기상레이더센터
1. 기상레이더의 운영 및 개발 기본계획 수립ㆍ종합ㆍ조정
2. 기상레이더 관측의 기준설정 및 제도 개선
3. 기상레이더 국내외 기술협력
4. 기상레이더 관측망 원격 감시 및 운영에 관한 사항
5. 기상레이더 관측전략 및 표준화 운영ㆍ관리
6. 국내외 기상레이더 관측자료 수집ㆍ처리ㆍ분배ㆍ저장
7. 기상레이더 자료처리 및 응용에 관한 연구
8. 보안ㆍ문서관리ㆍ인사ㆍ예산회계 및 물품ㆍ국유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레이더기획팀
1. 기상레이더관측 정책 및 기본계획의 수립
2. 유관기관 기상레이더자료의 공동 활용에 관한 사항
3. 기상레이더 전문인력의 양성 및 기술의 지원
4. 국가 기상레이더 통합운영체계 구축에 관한 사항
5. 기상레이더 부품국산화 및 표준화에 관한 사항
6. 국가 레이더 협업행정 관리ㆍ운영에 관한 사항
7. 레이더테스트베드 관리에 관한 사항
8. 보안ㆍ문서관리ㆍ인사ㆍ예산회계 및 물품ㆍ국유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9. 그 밖에 센터 내 다른 과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레이더운영과
1. 기상레이더관측의 기준설정 및 제도개선
2. 기상레이더 관측망의 구축ㆍ운영 및 개선
3. 기상레이더 통합운영시스템의 구축 및 개선
4. 국내 유관기관 기상레이더관측 기술의 지원
5. 관악산ㆍ구덕산ㆍ오성산ㆍ면봉산ㆍ광덕산ㆍ강릉ㆍ백령도ㆍ진도ㆍ성산ㆍ고산기상레이더의 운영에 관한 사항
6. 기상레이더 관측전략 및 표준화에 관한 사항
7. 기상레이더 원격감시 및 제어
8. 낙뢰관측망 구축ㆍ운영 및 기본계획의 수립
레이더분석과
1. 기상레이더 자료처리 및 응용기술의 개발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2. 기상레이더 자료처리 및 응용에 관한 연구
3. 기상레이더자료의 표준화 및 관리ㆍ운영
4. 국내외 기상레이더 관측자료의 수집ㆍ분석ㆍ처리ㆍ분배ㆍ저장
5. 기상레이더자료 공동활용시스템의 구축ㆍ운영
6. 센터 내 전산장비의 운영 및 개선
7. 기상레이더자료의 실시간 처리ㆍ분석 및 감시
8. 기상레이더 산출자료의 정확도 검증 및 개선
9. 기상레이더 관련 신기술의 도입ㆍ적용 및 국내외 기술 협력
10. 기상레이더 응용기술의 연구 및 개발
11. 기상레이더 자료의 예보지원에 관한 사항
12. 낙뢰관측자료의 분석 및 기술개발에 관한 사항
항공기상청
×
주요업무안내
항공기상청(책임운영기관)
1. 항공기의 안전과 경제적 운항을 위한 기상정보의 수집ㆍ생산ㆍ제공에 관한 사항
2. 인천비행정보구역에 대한 기상감시에 관한 사항
3. 항공기상관측·예보수준 향상을 위한 조사 연구
4. 공항지역 기후통계 및 민원처리
5, 항공기상관련 용역 및 수탁사업
6. 기타 항공기상청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
기획운영과
1. 주요업무계획의 수립 및 조정·평가
2. 조직 및 정원의 관리
3. 세입세출 예산의 편성·집행의 조정
4. 공무원의 임용·복무·교육훈련 기타 인사업무
5. 성과관리, 혁신 및 제도개선 업무
6. 책임운영기관에 관한 업무
7. 항공기상정보사용료 징수 및 체계 정비
8. 수익사업 발굴 및 마케팅
9. 국유재산 및 물품의 관리
10. 문서·보안·관인관수
11. 당직 및 청사의 방화관리
12. 직원의 후생 및 복지증진에 관한 사항
13. 기타 대내 일반서무 및 다른 과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14. 항공기상관련 국제협력에 관한 정책 수립 및 시행
관측예보과
1. 항공기상관측·예보에 관한 운영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항공기상예보·특보의 생산·통보 및 사후분석
3. 항공기상관측자료의 생산과 통보
4. 소속기관 항공예보·특보의 총괄·조정·지원
5. 항공예보장비의 운영·관리
6. 항공기상에 관한 상담업무
7. 기관홍보에 관한 업무
8. 항공교통에 필요한 기상정보의 지원 및 협력
9. 저고도 항공기에 필요한 기상정보 지원 및 협력
10. 조종사보고 자료의 수집
11. 화산재, 우주기상, 방사능에 관한 업무
정보기술과
1. 청내 정보화에 관한 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항공기후자료의 통계 및 발간
3. 항공기상자료의 제공 및 증명
4. 항공기상전산처리시스템의 개발·운영
5. 항공기상서비스시스템의 개발·운영
6. 항공기상데이터베이스의 구축·운영
7. 항공기상관측장비의 관리·운영과 검정
8. 항공기상장비의 수급·관리
9. 국내외 항공기상자료의 수집·분배
10. 항공기상통신망 및 통신장비의 운영·관리
11. 항공기상관측망에 관한 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항행기상팀
1. 항행기상기술에 관한 운영계획의 수립·종합 및 조정
2. 항행기상기술과 관련된 서비스 개발
3. 항공기상관측·예보기술 개발
4. 항공기상예보·특보의 평가
5. 항공기 기반 관측자료의 수집체계 구성·운영과 관리
공항기상대(김포, 제주, 무안, 울산, 김해)
1. 항공기상관측 및 보고
2. 항공기상기술의 개발
3. 예보 및 특보자료의 수집·분석 및 관리
4. 당해공항의 예보 및 특보의 생산 및 발표
5. 항공기상예보·특보의 사후분석
6. 항공기상재해의 조사
7. 항공기후자료의 작성
8. 항공기상자료의 증명·제공 및 보급
9. 항공기상에 관한 상담업무
10. 보안 및 관인·관인대장의 관수
11. 문서의 분류·수발·심사·편찬·보존 및 관리
12. 당직 및 청사의 방화관리
13. 청사 및 각종 시설물의 유지관리
14. 공무원의 복무·교육훈련 기타 인사업무
15. 물품의 구매 및 조달
16. 물품 및 국유재산의 관리
17. 기상장비의 유지·관리
기상실(여수, 양양)
1. 항공기상관측 및 보고
2. 항공기상기술의 개발
3. 당해공항의 착륙예보의 생산·발표
4. 당해공항의 이륙예보의 생산·발표
5. 당해공항의 예보 및 특보의 통보
6. 항공기상재해의 조사
7. 항공기후자료의 작성
8. 항공기상자료의 증명·제공 및 보급
9. 항공기상에 관한 상담업무
10. 보안 및 관인·관인대장의 관수
11. 문서의 분류·수발·심사·편찬·보존 및 관리
12. 당직 및 청사의 방화관리
13. 청사 및 각종 시설물의 유지관리
14. 공무원의 복무·교육훈련
15. 물품 및 국유재산의 관리
16. 기상장비의 유지·관리
담당관리 :
본청
문의 : 02-2181-0900